유저 정보 불러오는 건 성공했으니 이제 유저 정보를 수정할 차례입니다
https://supabase.com/dashboard/project/zypmvkiqnuatkkktbmrr/api?resource=userinfo
API | Supabase
supabase.com

코드 해설하자면 userinfo라는 테이블에서 profile 행을 업데이트 할건데 (지금은 입력값이 '스테이트 안됨' )
id 값이 현재 로그인한 id값이랑 같아야 한다 이 코드에서는 (user.id)===현재 로그인한 유저의uid
요약하면 현재 로그인한 유저의 테이블만 바꿀수있다는 거죠
const [nickname, setNicknam] = useState('');
const handleNicknameChange = (e: React.ChangeEvent<HTMLInputElement>) => {
setNicknam(e.target.value);
};
const handleNicknameUpdate = async () => {
if (nickname.length < 2 || nickname.length > 6) {
alert('닉네임은 최소 2글자, 최대 6글자로 작성해주세요.');
return;
}
const { error } = await supabase.from('userinfo').update({ username: nickname }).eq('id', user.id);
if (error) {
alert('닉네임 업데이트 중 에러가 발생했습니다.');
} else {
alert('닉네임이 성공적으로 업데이트되었습니다.');
window.location.reload();
}
};
<ProfileTitle>닉네임</ProfileTitle>
<ProfileInput
type="text"
maxLength={5}
placeholder={user.username || '닉네임 수정'}
onChange={handleNicknameChange}
/>{' '}
닉네임 변경 한번 하는데 이정도 코드가 들어가네요 유효성 검사도 추가하고 수정 성공하면 자동으로
새로 고침이 되도록 구성했습니다
그리고 중간에 튜터님이 오셔서 피드백을 주셨는데
일단 회원가입시 닉네임을 입력 안해도 가입이 되는점 그리고 추가로....
마이페이지/id 이것도 불필요해보임 //뒤에 값이 달라도 그냥 들어가져서 필요업슴
index.tsx추가하기 //굳이 할 필요는 없지만 파일들의 통일성을 위해
페이지 마다 h1 하나만 써야 SEO잘 걸림 //h1태그가 너무 무분별 해보임
단위 rem 은 장점은 적응형 처럼 알아서 바뀌지만
단점은 값이 완전히 떨어지지않아서 구형브라우저에서는
이상 작동 위험이있음 로그인 유지 컷 기능 우선 순위는 낮음 //rem단위를 사용하는 이유는?
서둘러 바꿔야겠습니다
29.Array, LinkedList에 대해 설명해주시고 각각 어떻게 사용하는지 말씀해주세요.
- 답변
배열: 고정된 크기의 연속적인 메모리 공간을 사용합니다.
배열은 O(1) 시간에 인덱싱으로 원소에 접근합니다.
배열의 중간 원소 추가/삭제는 O(n) 시간이 걸립니다.
연결 리스트: 노드들의 집합으로, 노드는 데이터와 다음 노드를 가리키는 포인터로 구성됩니다.
연결 리스트는 동적으로 크기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연결 리스트의 원소 조회는 O(n) 시간이 걸립니다.
연결 리스트의 노드 추가/삭제는 위치에 따라 O(1) 또는 O(n) 시간이 걸립니다.
사용 사례에 따라 배열 또는 연결 리스트 중 적합한 것을 선택합니다.
30.AWS S3를 사용하는 이유와 사용 경험에 대해서 답변해주세요.
- 답변
S3
- 확장성: AWS S3는 필요에 따라 데이터 저장 공간을 확장할 수 있는 무한한 스케일링을 제공합니다. 데이터 양이 증가하더라도 추가적인 서버 또는 인프라를 관리할 필요 없이 저장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 내구성과 가용성: AWS S3는 데이터를 여러 가용 영역에 복제하여 데이터 손실을 방지하고 고가용성을 제공합니다. 데이터는 99.999999999%의 내구성을 보장합니다.
- 보안: AWS S3는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접근 제어를 설정하는 기능을 제공하여 데이터 보안을 강화합니다.
- 비용 효율성: AWS S3는 사용한 만큼만 비용을 지불하므로 미리 예측 가능한 비용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EC2
- 가상 서버: AWS EC2는 가상 서버를 제공하며, 이를 사용하면 필요에 따라 서버를 프로비저닝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는 빠른 확장성을 제공합니다.
- 다양한 운영 체제: AWS EC2는 다양한 운영 체제와 인스턴스 유형을 지원하므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 맞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자동화 및 관리: AWS EC2는 Auto Scaling과 같은 서비스를 통해 자동 확장 및 관리를 지원합니다. 이를 통해 트래픽의 변동에 따라 자원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 백업 및 스냅샷: EC2 인스턴스를 스냅샷으로 백업하고 복원할 수 있으므로 데이터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Today I Learned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01.21 (0) | 2024.01.21 |
---|---|
24.01.20 (0) | 2024.01.20 |
24.01.18 수파 베이스 회원가입 추가 정보 넣기 (0) | 2024.01.18 |
24.01.17 (0) | 2024.01.17 |
24.01.16 (0) | 2024.01.16 |